프랑스 오픈은 1891년 시작된 프랑스 테니스 선수권 대회로, 현재는 4대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 중 하나이다. 초기에는 프랑스 클럽 회원만 참가할 수 있었으나, 1925년 국제 대회로 확대되었고 1968년에는 프로 선수들의 참가가 허용되었다. 현재는 클레이 코트에서 진행되며, 남자 단식 우승자에게는 무슈케테르 컵, 여자 단식 우승자에게는 수잔 랑글렌 컵이 수여된다.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은 남자 단식의 라파엘 나달(14회), 여자 단식의 크리스 에버트(7회)가 보유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텔레비전과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미국에서는 TNT 스포츠에서, 영국에서는 유로스포츠에서 방송되며, 볼 보이와 볼 걸은 프랑스 테니스 연맹 라이선스 소지자를 대상으로 선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89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대회로, 남자 싱글로 시작해 여자 싱글, 페어 스케이팅, 아이스 댄싱이 추가되었으며, 국제빙상연맹(ISU)의 관할 아래 유럽 ISU 회원국 선수만 참가할 수 있고, 각 종목별 출전 쿼터는 전년도 대회 성적에 따라 결정되며, 4가지 종목으로 구성된다.
파리의 테니스 - 파리 마스터스 파리 마스터스는 프랑스 파리에서 매년 열리는 실내 하드 코트 테니스 대회로, ATP 투어 마스터스 1000 시리즈에 속하며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이 참가하여 노바크 조코비치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권위 있는 대회이다.
파리의 테니스 - 스타드 롤랑 가로스 스타드 롤랑 가로스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테니스 경기장으로 프랑스 오픈의 주 경기장이며 클레이 코트를 사용하는 그랜드 슬램 대회 경기장이고 프랑스의 파일럿 로랑 가로스의 이름에서 유래했고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테니스와 복싱 경기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프랑스의 테니스 대회 - 파리 마스터스 파리 마스터스는 프랑스 파리에서 매년 열리는 실내 하드 코트 테니스 대회로, ATP 투어 마스터스 1000 시리즈에 속하며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이 참가하여 노바크 조코비치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권위 있는 대회이다.
프랑스의 테니스 대회 - 몬테카를로 마스터스 몬테카를로 마스터스는 매년 4월 모나코에서 열리는 남자 프로 테니스 토너먼트로서, 긴 역사를 지닌 클레이 코트 대회이며 ATP 투어 마스터스 1000 대회 중 상위 랭킹 선수들의 출전 의무가 면제되는 유일한 대회이다.
프랑스 오픈
대회 정보
이름
프랑스 오픈 (롤랑 가로)
프랑스어 명칭
Les Internationaux de France de tennis, Roland-Garros (레 장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드 테니스, 롤랑 가로)
약칭
프랑스 오픈
영어 명칭
The French Open
로마자 표기
Rolang Garo
마지막 대회
2024년 프랑스 오픈
시작 연도
1891년
개최 횟수
128회 (2024년 기준)
그랜드 슬램 대회
94회 (1925년 프랑스 선수권 대회 이후)
도시
파리, 파리 16구
국가
프랑스
경기장
스타드 롤랑 가로 (1928년부터)
과거 경기장
Societé de Sport de Île de Puteaux, 퓌토 (1891–1894); Tennis Club de Paris, 오퇴유 (1895–1908); Société Athlétique de la Villa Primrose, 보르도 (1909); Croix-Catelan de 라싱 클럽 드 프랑스, 불로뉴 숲 (1910–1924, 1926); 스타드 프랑세, 생클루 (1925, 1927)
프랑스 오픈은 1891년 ''Championnat de France International de Tennis''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프랑스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국내 대회였다. 1897년에 첫 여자 대회가 추가되었다. 1912년, 대회 주최측은 잔디 코트가 아닌 붉은 클레이(테르 바튀)를 도입했다. 1924년까지는 프랑스 선수 자격을 가진 사람만이 출전할 수 있었다.[108]
1925년부터 프랑스 챔피언십은 외국 선수들도 참가할 수 있도록 확대되었고, 프랑스 레이싱 클럽과 프랑스 스타디움의 잔디 코트에서 번갈아 열렸다.[108] 1927년 데이비스 컵에서 프랑스가 우승한 후, 1928년 대회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비행기 조종사였던 롤랑 가로스의 이름을 딴 롤랑 가로스 스타디움에서 열렸다.[14][15]
1945년부터 1947년까지 프랑스 오픈은 윔블던 다음으로 개최되어 연중 세 번째 그랜드 슬램 대회가 되기도 했다. 1968년, 프랑스 챔피언십은 아마추어와 프로 선수 모두 출전할 수 있는 최초의 오픈 대회가 되었다.[108]
1981년부터 프리 오랑쥬 상(Prix Orange), 프리 시트롱 상(Prix Citron), 프리 부르죵 상(Prix Bourgeon)이 제정되었다. 2006년부터는 대회가 일요일에 시작되었고, 2007년에는 남녀 선수에게 동일한 상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109]
프랑스 오픈은 그랜드 슬램 대회 중 유일하게 클레이 코트를 사용하며, 다른 대회와 다른 경기 양상을 보인다. 매년 이변이 속출하며, 프랑스 관중들의 응원 문화는 선수들에게 기술뿐 아니라 강한 정신력을 요구한다. 장내 아나운스, 심판의 콜 등 모든 것이 프랑스어로 진행되며, 선수들은 우승 스피치의 일부를 프랑스어로 하기도 한다.
대회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내용
1891년
프랑스 선수권 대회(Championnat de France) 창설 (남자 단식, 남자 복식)
1891년, 'Championnat de France International de Tennis'(일반적으로 영어로 프랑스 선수권 대회)라는 이름으로 프랑스 선수권 대회가 시작되었다.[13] 이 대회는 프랑스 클럽 회원인 테니스 선수만 참가할 수 있었다. 첫 우승자는 파리에 거주하며 클럽 스타드 프랑세의 회원이었던 영국인 H. 브릭스였다. 그는 결승전에서 P. 베니에르를 스트레이트 세트로 꺾었다.[13]
1897년에는 4명이 참가한 첫 여자 단식 토너먼트가 개최되었다. 1902년에는 혼합 복식 경기가, 1907년에는 여자 복식 경기가 추가되었다.
1912년 대회 주최측은 기존의 전통적인 잔디 코트가 아닌, 붉은 벽돌 분말로 만들어진 붉은 클레이(테르 바튀) 재질로 표면을 덮은 새로운 형태의 코트를 도입하였다.
1925년 프랑스 챔피언십(당시 명칭)은 외국 선수들도 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참가 자격을 확대하였고, 대회 명칭을 '프랑스 국제 선수권 대회(Internationaux de France de Tennis)'로 변경하였다.[108] 이 대회는 프랑스 레이싱 클럽(the Racing Club de France)과 프랑스 스타디움(the Stade Francais)의 잔디 코트에서 번갈아가며 열렸다.[108]
4총사'로 불리던 르네 라코스트, 장 보로트라, 앙리 코셰, 자크 브뤼뇽 선수들의 활약으로 프랑스가 1927년 데이비스 컵에서 우승하자, 프랑스는 1928년 대회를 포르트 도퇴유(Porte d’Auteuil)의 새로운 경기장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프랑스 스타디움'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의 비행기 조종사였던 롤랑 가로스의 이름을 따 새 경기장의 이름을 짓는 조건으로 테니스 협회에 부지를 기증하였다. 그리하여 롤랑 가로스 스타디움과 그 센터 코트인 필립 샤트리에 코트(1988년 명명)에서 1928년 데이비스 컵이 열렸고, 프랑스 오픈 개최지로 확정되었다.[14][15]
1940년부터 1945년까지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대회가 중단되었다.[16] 프랑스 테니스 연맹에서는 비시 프랑스 하에서 1941년부터 1945년까지 같은 장소에서 열린 대회(:en:Tournoi de France (tennis))는 인정하지 않는다.[16] 1945년부터 1947년까지 3년간 프랑스 오픈은 윔블던 다음으로 개최되어 연중 세 번째 그랜드 슬램 대회가 되기도 했었다.
2. 3. 오픈 시대 (1968-현재)
1968년, 프랑스 챔피언십은 아마추어 선수와 프로 선수 모두 출전할 수 있는 최초의 오픈 대회가 되었다.[108]
1981년부터 가장 훌륭한 스포츠맨십을 보여준 선수에게는 프리 오랑쥬 상(Prix Orange), 가장 인상적인 경기를 펼친 선수에게는 프리 시트롱 상(Prix Citron), 한 해 동안 가장 놀라운 성적을 보여준 선수에게는 프리 부르죵 상(Prix Bourgeon)이 수여되기 시작했다.
2006년부터 대회는 일요일에 시작되어 첫날 3개 메인 코트에서 12건의 단식 경기가 열리고 있다. 또한 개회 전날에는 전통 행사인 베니 베르테 전시회(Benny Berthet exhibition day)가 열리며, 이 행사의 수익금은 전액 자선 단체에 기부된다.
2007년 3월, 프랑스 오픈은 테니스 역사상 최초로 모든 라운드에서 남녀 선수에게 동일한 상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하여 주목받았다.[109] 같은 해, 휠체어 테니스 부문이 추가되었다.
2019년, 쇼 코트 "코트 시몬 마티유"(Court Simonne-Mathieu)가 신설되었다.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대회 개최가 9월 말과 10월 초로 연기되었고, 제한된 관중 앞에서 진행되었다.[36] 필립 샤트리에 코트에 개폐식 지붕이 설치되고 각 코트에 조명 시설이 설치되어 사상 처음으로 야간 경기가 가능해졌다.[37]
2022년에는 결정적인 세트에서 6-6 동점 시 10점 타이브레이커 형식이 도입되었다.[19]
2024년은 빅 3 (로저 페더러, 라파엘 나달, 노바크 조코비치) 멤버가 2004년 이후 처음으로 결승전에 나오지 않은 해로 기록되었다.[22]
3. 코트의 특징
프랑스 오픈의 클레이 코트는 공 속도를 느리게 하고 공이 높게 튀어 오르게 하여 잔디 코트와는 정반대의 특성을 보인다.[39] 따라서 공격적인 플레이보다는 안정적인 수비가 중요하며, 경기가 길어져 체력이 중요한 변수가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윔블던이나 하드 코트 대회인 호주 오픈 및 US 오픈에서 여러 번 우승한 선수들도 프랑스 오픈에서는 우승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존 뉴컴, 아서 애시, 지미 코너스, 보리스 베커, 스테판 에드베리, 피트 샘프라스, 마르티나 힝기스, 린제이 데이븐포트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 클레이 코트에 강한 선수들은 이 대회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라파엘 나달, 비에른 보리, 이반 렌들, 마츠 빌란데르, 쥐스틴 에냉, 크리스 에버트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라파엘 나달은 프랑스 오픈에서 14번 우승하며 '클레이 코트 스페셜리스트'로 불린다.
프랑스 오픈은 1978년 US 오픈이 하드 코트로 변경된 이후 유일하게 클레이 코트에서 열리는 메이저 대회이다.[40][41] 클레이 코트는 잔디 코트나 하드 코트에 비해 공의 속도를 늦추고 높이 튀어 오르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클레이 코트는 강력한 서브와 서브 앤 발리를 구사하는 선수들의 장점을 어느 정도 상쇄시켜, 이러한 유형의 선수들이 이 표면에서 지배력을 발휘하기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어, 강력한 서브로 유명하고 14번의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한 피트 샘프라스는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한 적이 없으며, 1996년에 준결승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존 매켄로, 프랭크 세지먼, 존 뉴컴, 비너스 윌리엄스, 스테판 에드베리, 보리스 베커, 레이튼 휴잇, 앤디 머레이, 지미 코너스, 루이스 브로, 버지니아 웨이드, 마르티나 힝기스를 포함한 다른 많은 유명 선수들도 여러 그랜드 슬램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프랑스 오픈에서는 우승하지 못했다. 매켄로와 에드베리는 유일한 프랑스 오픈 결승전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프랑스 오픈의 트로피는 1953년부터 우승자에게 수여되며, 파리의 보석 회사인 멜레리오 디 메레르에서 제작한다. 모든 트로피는 순은으로 만들어졌으며 측면에 섬세하게 새겨진 장식이 있다. 각 싱글 우승자는 트로피 받침대에 이름이 새겨지며, 우승자는 자신이 획득한 트로피의 맞춤형 순은 복제품을 받는다.[43] 트로피는 일반적으로 프랑스 테니스 연맹(FFT) 회장이 수여한다.
남자 단식 우승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Coupe des Mousquetaires프랑스어(머스킷티어 컵)이라고 불리며, "4대 머스킷티어"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무게는 14kg, 높이는 40cm, 너비는 19cm이다.[44] 현재 디자인은 1981년 멜레리오 디 메레르에서 제작했다. 각 우승자는 더 작은 크기의 복제품을 받으며, 원본은 항상 FFT의 소유로 남는다.[45]
여자 단식 우승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1979년부터 ''쿠프 수잔 랑글렌'' (수잔 랑글렌 컵)이라고 불린다. 현재 컵은 1986년에 처음 수여되었다. 이는 몇 가지 세부 사항을 제외하고, 당시 니스 시에서 수잔 랑글렌에게 제공한 컵의 복제품이다. 국립 스포츠 박물관에 수잔 랑글렌의 가족이 기증한 이 트로피는 FFT가 복사본을 제작할 때까지 1979년부터 1985년까지 모든 우승자에게 수여되었다. 각 우승자는 더 작은 크기의 복제품을 받으며, 원본은 항상 FFT의 소유로 남는다.[45]
트로피는 1953년부터 우승자에게 수여되었으며, 파리의 보석 회사인 멜레리오 디 메레르에서 제작한다. 트로피는 모두 순은으로 만들어졌으며 측면에 섬세하게 새겨진 장식이 있다. 각 싱글 우승자는 트로피 받침대에 이름이 새겨진다. 우승자는 자신이 획득한 트로피의 맞춤형 순은 복제품을 받는다.[43] 트로피는 일반적으로 프랑스 테니스 연맹(FFT) 회장이 수여한다.
남자 단식 우승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머스킷티어 컵(Coupe des Mousquetaires프랑스어)이라고 불린다. 이 트로피는 "4대 머스킷티어"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트로피는 무게 14kg, 높이 40cm, 너비 19cm이다.[44] 현재 디자인은 1981년 멜레리오 디 메레르에서 제작했다. 각 우승자는 더 작은 크기의 복제품을 받으며, 원본은 항상 FFT의 소유로 남는다.[45]
여자 단식 우승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1979년부터 수잔 랑글렌 컵(''쿠프 수잔 랑글렌'')이라고 불린다. 현재 컵은 1986년에 처음 수여되었다. 이는 몇 가지 세부 사항을 제외하고, 당시 니스 시에서 수잔 랑글렌에게 제공한 컵의 복제품이다. 국립 스포츠 박물관에 수잔 랑글렌의 가족이 기증한 이 트로피는 FFT가 복사본을 제작할 때까지 1979년부터 1985년까지 모든 우승자에게 수여되었다. 각 우승자는 더 작은 크기의 복제품을 받으며, 원본은 항상 FFT의 소유로 남는다.[45]
남성과 여성 모두 각 투어의 규칙에 따라 랭킹 포인트를 받는다.
대회
우승
준우승
4강
8강
16강
32강
64강
128강
예선
Q3
Q2
Q1
남자 단식
2000
1300
800
400
200
100
50
10
25
16
8
0
남자 복식
0
여자 단식
1300
780
430
240
130
70
10
40
30
20
2
여자 복식
10
4. 1. 2. 휠체어
경기
우승
준우승
4강/3위
8강/4위
단식
800
500
375
100
복식
800
500
100
쿼드 단식
800
500
100
쿼드 복식
800
100
4. 1. 3. 랭킹 포인트 (일반)
2015년 총상금은 28028600EUR로 증가하였다. 다음은 각 라운드별 상금 및 랭킹 포인트이다.
2015년 상금 및 랭킹 포인트
경기
우승
준우승
4강
8강
4회전
3회전
2회전
1회전
단식
포인트 (남/여)
2000
1200 / 1300
720 / 780
360 / 430
180 / 240
90 / 130
45 / 70
10 / 10
상금
1800000EUR
900000EUR
450500EUR
250000EUR
145000EUR
85000EUR
50000EUR
27000EUR
복식
포인트 (남/여)
2000
1200 / 1300
720 / 780
360 / 430
180 / 240
90 / 130
–
–
상금*
450000EUR
225000EUR
112500EUR
61000EUR
33000EUR
18000EUR
9000EUR
–
혼합복식
포인트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
–
해당없음
해당없음
상금*
114000EUR
57000EUR
28000EUR
15000EUR
–
–
8000EUR
4000EUR
*팀당 지급액
4. 1. 4. 랭킹 포인트 (휠체어)
경기
우승
준우승
4강/3위
8강/4위
단식
800
500
375
100
복식
800
500
100
쿼드 단식
800
500
100
쿼드 복식
800
100
4. 1. 5. 랭킹 포인트 (주니어)
경기
우승
준우승
4강/3위
8강/4위
단식
800
500
375
100
복식
800
500
100
쿼드 단식
800
500
100
쿼드 복식
800
100
5. 역대 우승자
프랑스 오픈의 공식 명칭은 프랑스어 '''''Internationaux de France de Tennis'''''이며,[8][9] 영어로는 '''프렌치 오픈'''이라고 불린다.[12] 1891년, 프랑스 클럽 회원만 참가할 수 있는 ''Championnat de France''가 시작되었다. 첫 여자 단식 토너먼트는 1897년에 개최되었으며, 혼합 복식은 1902년, 여자 복식은 1907년에 추가되었다. 1925년, 프랑스 선수권 대회는 국제 아마추어 대회로 개방되었고, 국제 테니스 연맹에 의해 메이저 대회로 지정되었다.
무스케티어 (르네 라코스테, 장 보로트라, 앙리 코셰, 자크 브뤼뇽)가 1927년 데이비스 컵에서 우승한 후, 프랑스는 1928년 스타드 롤랑 가로스에서 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14] 1968년, 프랑스 선수권 대회는 아마추어와 프로 모두 참가할 수 있는 최초의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가 되었다.[15]
2022년에는 새로운 타이브레이커 형식이 도입되었다.[19] 결정적인 세트에서 6-6 동점일 경우, 10점 타이브레이커로 승자를 결정한다.[20]
남자 복식은 자크 브뤼뇽 컵 우승자이다. 2024년 대회 우승자는 마르셀로 아레발로와 마테 파비치 조로, 결승에서 시모네 볼렐리와 안드레아 바바소리 조를 7–5, 6–3으로 이겼다.[3] 마르셀로 아레발로는 그의 두 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고, 마테 파비치는 그의 네 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3]
''프랑스 선수권 대회(1891–1924)는 프랑스 클럽 회원에게만 개방되었다. 1925년에는 국제 선수들에게 개방되었고, 1968년에는 프로 선수들이 아마추어 선수들과 경쟁할 수 있게 되면서 프랑스 오픈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WHCC 참조.''
7. 트로피
트로피는 1953년부터 우승자에게 수여되었으며, 파리의 보석 회사인 멜레리오 디 메레르에서 제작한다. 트로피는 모두 순은으로 만들어졌으며 측면에 섬세하게 새겨진 장식이 있다. 각 싱글 우승자는 트로피 받침대에 이름이 새겨진다. 우승자는 자신이 획득한 트로피의 맞춤형 순은 복제품을 받는다.[43] 트로피는 일반적으로 프랑스 테니스 연맹(FFT) 회장이 수여한다.
남자 단식 우승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Coupe des Mousquetaires|무스케테르 컵프랑스어(The Musketeers' Cup)이라고 불린다. 이 트로피는 사총사에서 유래한 "4대 머스킷티어"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트로피는 무게 14kg, 높이 40cm, 너비 19cm이다.[44] 현재 디자인은 1981년 멜레리오 디 메레르에서 제작했다. 각 우승자는 더 작은 크기의 복제품을 받으며, 원본은 항상 FFT의 소유로 남는다.[45]
여자 단식 우승자에게 수여되는 트로피는 1979년부터 Coupe Suzanne-Lenglen|수잔 랑글렌 컵프랑스어(Suzanne Lenglen Cup)이라고 불린다. 현재 컵은 1986년에 처음 수여되었다. 이는 몇 가지 세부 사항을 제외하고, 당시 니스 시에서 수잔 랑글렌에게 제공한 컵의 복제품이다. 국립 스포츠 박물관에 수잔 랑글렌의 가족이 기증한 이 트로피는 FFT가 복사본을 제작할 때까지 1979년부터 1985년까지 모든 우승자에게 수여되었다. 각 우승자는 더 작은 크기의 복제품을 받으며, 원본은 항상 FFT의 소유로 남는다.[45]
8. 방송
프랑스 오픈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방송사를 통해 중계된다.
일본에서는 2024년 현재 WOWOW가 위성 방송으로 중계권을 가지고 있으며, WOWOW 온디맨드를 통한 인터넷 방송도 동시에 진행한다.[78][79]TV 도쿄는 1983년부터 2021년까지 지상파로 일본 선수 일부 경기를 중심으로 방송했으며,[81][82] 민영 방송국 중 유일하게 테니스 4대 메이저 대회를 중계한 곳이다.[80]
TV 도쿄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현지에 특설 스튜디오를 설치하고 타키가와 크리스텔을 MC로 기용하기도 했다.[101] 2016년 대회 때는 낙뢰로 TV 구역 전원이 꺼지는 상황에서도 TV 도쿄 회선만이 유일하게 연결되어 다른 방송국들이 TV 도쿄 스튜디오를 사용한 사례가 있다.[102]
8. 1. 프랑스
프랑스 텔레비전과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2027년까지 프랑스 오픈의 방송권을 소유하고 있다.[49] 11개의 모든 "나이트 세션"은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독점 제공한다.[50]
프랑스 텔레비전의 프랑스 오픈 스튜디오 진행은 로랑 뤼야가 맡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필리프 샤트리에 코트의 한쪽 구석에 있는 테라스에 위치해 있다.[51]
8. 2. 미국
NBC는 1975년부터 프랑스 오픈을 중계했다.[52]2007년, 테니스 채널이 유료 중계권을 획득했고, 2015년까지 ESPN2에 오전 시간대(미국 시간) 경기 중계권을 하청했다.[54] 2015년 8월, ESPN은 계약을 중단하고 2016년부터 중계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ESPN은 독점권을 가진 다른 3개의 메이저 대회와 중계 방식이 맞지 않았다고 이유를 밝혔다.[54] 테니스 채널은 싱클레어 방송 그룹 산하에서 권리를 유지하며 중계량을 늘렸다.[55]
2024년 6월, TNT 스포츠가 2025년부터 미국 중계권을 획득했으며,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와의 계약으로 유로스포츠를 통한 범유럽 권리도 갱신한다고 보도되었다.[59][60]
8. 3. 영국
BBC는 1981년부터 매년 프랑스 오픈 결승전을 중계하기 시작했으며,[61] 2011년까지 중계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는 ITV 스포츠가 영국에서 프랑스 오픈을 중계했다. 유로스포츠는 1989년에 이 대회를 방송하기 시작했으며,[62] 2022년 현재 영국 독점 중계권을 가지고 있다.[63] 유로스포츠의 프랑스 오픈 스튜디오 진행은 바바라 셰트와 마츠 빌란데르가 맡고 있으며, 해설에는 조 듀리, 애나벨 크로프트 등 여러 전문가들이 참여한다.[64]
8. 4. 인도
인도에서는 스타 스포츠가 프랑스 오픈의 독점 방송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소니 픽쳐스 네트워크 인디아가 소유한 소니 픽쳐스 스포츠 네트워크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방송권을 획득했다.[65]
8. 5.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프랑스 오픈 중계 방송사에 대한 정보가 현재 명확하게 나와 있지 않다. 다만, 과거 일본의 TV 도쿄가 2021년까지 지상파로 중계했던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80] TV 도쿄는 1983년부터 2021년까지 일본 선수 일부 경기를 중심으로 방송했으며,[81][82] 민영 방송국 중에서는 유일하게 테니스 4대 메이저 대회를 중계했다.[80]
9. 볼 보이 & 볼 걸
프랑스 오픈의 볼 보이와 볼 걸은 11세에서 16세 사이의 프랑스 테니스 연맹 라이선스 소지자 중에서 선발된다.[67][68][69] 2023년에는 프랑스 전역에서 약 4,000명이 지원했으며, 2024년에는 280명이 선발될 예정이다.[66] 선발된 인원들은 라코스테 셔츠와 반바지를 맞춰 입고, 대회에 앞서 수 주 동안 훈련을 받는다.[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